이혼할 때 재산분할 계산, 꼭 알아야 할 공식

 


✅ 이혼 시 재산분할이란?

이혼할 때 부부가 결혼 생활 중 형성한 공동 재산
공정하게 나누는 절차를 말합니다.

🔹 혼인 기간 동안 축적한 재산은
둘 중 누구 명의로 되어 있든 상관없이 원칙적으로 공유 재산으로 봅니다.


✅ 재산분할 대상과 제외 대상

구분포함 여부예시
결혼 기간 중 취득한 재산포함부동산, 예금, 퇴직금, 주식
결혼 전부터 소유한 재산제외 (단, 증식분은 포함)부모에게 물려받은 아파트
상속·증여받은 재산원칙적 제외 (기여도에 따라 일부 포함 가능)증여받은 토지
개인 부채경우에 따라 상계 처리신용대출, 카드 빚

👉 포인트:

  • 결혼 중 재산: 대부분 분할 대상

  • 결혼 전 재산: 기본 제외, 단 결혼 후 가치 상승분은 나눌 수 있음

  • 상속/증여 재산: 보통 분할 제외, 단 공동 관리·운용했다면 일부 인정 가능


✅ 재산분할 비율 계산 기본 공식

css
[ 부부공동 재산 총액 × (기여도 비율) = 각자 몫 ]

보통 기여도 비율 기본은 50:50입니다.
(맞벌이 부부든 전업주부든, 가사·육아 기여를 인정하는 흐름이 강함)

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달라질 수 있어요:

상황기여도 예시
한쪽이 독보적으로 소득 많음6:4, 7:3
전업주부가 장기간 가사노동 기여5:5 또는 6:4 (전업주부 우위 인정)
단기간 혼인생활 (1~2년 이내)7:3 이상 차이 가능

✅ 재산분할 실제 계산 예시

예시:

  • 공동 재산: 부동산 5억 + 예금 1억 = 총 6억 원

  • 양측 기여도: 50:50 인정

계산:

matlab
6억 × 50% = 3억

👉 각각 3억씩 가질 권리가 있음.

만약 부동산만 남아 있다면?

  • 집을 팔아서 3억씩 나누거나,

  • 한쪽이 상대방 지분(3억)을 현금으로 지급하는 방법을 선택합니다.


✅ 재산분할 시 주의할 점

  • 숨겨진 재산 탐색 필요 (예: 차명계좌, 은닉 부동산)

  • 부채도 분할 대상! (부채도 나눠짐)

  • 증거자료 확보: 부동산 등기부등본, 통장내역, 퇴직금 예상증명서


✨ 결론: 재산분할, 기여도 + 증거 확보가 핵심

  • 단순히 "누구 명의"가 중요한 게 아니라
    "결혼 기간 중 함께 형성한 재산"을 기준으로 나눕니다.

👉 재산분할은 철저한 자료 준비와
공정한 기여도 평가를 통해
내 권리를 지키는 것입니다.

다음 이전